거대 양당 '공천준비 모드'로 전환
민주당
오늘부터 검증위 적격심사 통과자
예비후보 등록 접수 등 '전열 정비'
국민의힘
대선승리 기세 몰아 출사표 잇따라
입지자들 '국민의당 합당' 여부 촉각

경기도 지역 정치권이 대선 승패의 기쁨과 충격이 채 가시기 전에 '6·1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했다.
13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각 정당들은 6·1 지방선거를 81일 남겨둔 가운데 5월12∼13일 후보자 등록 전까지 예비후보 등록, 공천관리위원회 구성, 경선방식 결정, 후보자 선출 등 선행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민주당 경기도당은 대선 결과 윤곽이 나온 하루 뒤인 11일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당 공직선거 예비후보자 신청' 공모를 내 14일부터 서류를 접수한다.
민주당 출마예정자는 원칙적으로 당 공직선거후보자 검증위원회의 예비후보자 적격심사를 통과한 뒤 예비후보로 등록해야 한다. 민주당 7대 공천배제 원칙인 ▲논문표절 ▲위장전입 ▲부동산투기 ▲탈세 ▲병역비리 ▲성 관련 범죄 ▲음주운전 등이 심사 기준이다. 민주당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심사 결과를 통보해 신속한 예비후보 등록이 이뤄지게 한다는 방침이다. 지난달 18일 공식적으로 개시된 기초단체장·지방의원 예비후보 등록이 지연된 데 빠르게 대응하면서 침체한 분위기를 쇄신하기 위해 전열을 가다듬는 모양새다.
출마예정자는 공천에서 주요 평가자료로 쓰일 '대선 일일활동보고' 최종 제출도 앞두고 있다. 앞서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는 대선 과정에서 지방선거 공천에 대선 기여도를 반영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민주당 경기도당 관계자는 “5월 12일 후보자 등록이 시작돼 그 전까지 공천작업을 완료한다는 계획으로, 이르면 이번 주부터 예비후보자 적격심사 통보가 이뤄질 것”이라며 “경기도만큼은 사수하겠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새로운 출발을 위해 재정비에 힘쓰고 있다”고 전했다.
당 안팎의 시선은 14일 공식 출범을 앞둔 비상대책위원회에 쏠리고 있다. 윤호중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은 대선 석패를 이겨내고 지방선거를 승리로 이끌 쇄신안과 공천심사위원회 구성·운영방안 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배출한 국민의힘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총 3500여명의 출마예정자가 몰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선 승리 기세를 몰아붙여 2018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휩쓸었던 보수진영 텃밭을 되찾고 지방권력을 탈환한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민주당과 달리 예비후보 등록을 위한 별도 절차가 없어 후보등록이 활발하다. 국민의힘 예비후보로 등록된 출마예정자는 이날 기준 경기도지사 1명(전체 3명), 시장·군수 37명(40명), 도의원 12명(12명), 시군의원 21명(47명) 등 71명이다.
국민의힘 경기도당 관계자는 “국정 운영은 민생과 밀접한 사안이 대다수여서 지방자치와 협력이 필수적이고, 여소야대 형국인 국회를 견제하기 위해 지방권력이 필요하다”며 “지방선거에서 국회 의석수가 모자란 정도에 상응하는 승리를 거둬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중앙당 선거대책위원회 구성, 각 시도당 공천심사위 구성, 후보자 공고·모집을 거쳐 늦어도 5월 초까지 전략·경쟁공천 여부를 결정한다. 이준석 당대표가 공약한 공천자격시험제도까지 구체화하려면 서둘러야 한다.
변수는 국민의당과 합당이다. 이번 주부터 국민의힘 지도부를 중심으로 합당 논의가 본격화된다. 일각에선 당권과 공천을 놓고 정당 간 갈등이 표출되면서 선거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불안감이 감돈다. 특히 윤 당선인(45.62%)이 경기도 지지율에서 이재명 민주당 후보(50.94%)와 5.43%p 격차로 열세를 보여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합당이라는 대형 변수가 위기의식을 키우고 있다.
한 국민의힘 지자체장 출마예정자는 “민주당은 대선 패배를 설욕하기 위해 남은 선거전에서 결집할 것이 예상되는 반면 국민의힘은 계파 간 갈등과 합당 이슈로 인한 대립 등으로 분열이 우려된다”며 “합당 과정이 매끄럽지 않다면 그 충격은 지역에서 감당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다예 기자 pdyes@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