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시간 3000명 불편 예상
도 오늘 대책회의 “당분간 혼잡”

'경기도 광역버스 입석금지' 시행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하루 3000여명의 승객이 출퇴근 불편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1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KD운송그룹 계열 13개 운수업체는 18일부터 입석금지를 전면 시행한다.
이는 358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이태원 참사' 이후 안전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사고를 예방하고자 하는 차원이다.
도는 최근 13개 운수업체에 '입석승차 전면 금지' 시행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고 이들 업체는 이행하겠다고 도에 통보했다.
13개 업체는 경기고속·경기버스·경기상운·경기운수·대원고속·대원버스·대원운수·이천시내버스·평안운수·평택버스·화성여객·명진여객·진명여객 등이다.
이들 업체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는 112개 노선 1123대로, 경기도 전체 광역버스 220개 노선 2093대의 절반을 넘는다.
이번에 입석 승차를 중단하면 사실상 일부 민영제를 제외하면 경기지역 전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가 중단된다.
앞서 경진여객과 용남고속 등 일부 업체는 지난 7월부터 노조의 요구에 따라 입석 승차를 중단해왔다.
입석금지로 인해 하루 출근시간 오전 6~9시, 퇴근시간 오후 5~10시 사이, 승객 3000여명이 이용에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는 과거 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 버스 단말기에 찍힌 버스카드 기록 내용을 평균치로 계산한 BMS(버스운송관리시스템)에 따른 수치다.
오는 18일부터 입석금지 조치가 이뤄지는 버스는 경기 동·북부와 동·남부 지역을 주로 운행하는데 성남, 화성, 남양주지역 노선이 많아 해당지역 피해가 클 전망이다.
도는 예상되는 도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버스업계와 다양한 협의를 나눌 방침이다. 또 오는 17일 도와 지자체, 국토교통부 등 대책회의를 열어 예비차와 전세버스 투입 등의 방안도 논의한다.
그러나 당장 18일부터 발생할 버스 승차난의 근본적 해결책을 내놓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미 도는 서울시 등과 협의를 거쳐 입석 문제 해결을 위해 정규버스 53대 증차와 전세버스 89회 투입 등의 대책을 마련했지만 다음달이나 돼야 가능한 상황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버스 기사들이 상당수 이직한 상황이라 기사 수급에 어려움이 있고, 신차를 출고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각 시군과 버스업체를 통해 입석 승차 중단을 알려 대체 교통수단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며 “내일 대광위 회의에서 대책을 논의하겠으나 당분간의 혼잡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2년과 2018년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과 '도로교통법'이 각각 개정돼 대부분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광역버스는 입석이 금지돼 있지만 출퇴근 시간에 수요가 집중되는 현실을 고려해 버스업체들은 입석을 용인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