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관·IPA·해수청 비상체제로
학교급식·돌봄 공백 대책 분주
인천교통공사는 불참키로 결정

24일 총파업을 예고한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인천지역에선 지난 6월과 마찬가지로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앞에서 출정식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인천항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철도노조와 학교 비정규직 노조도 이번 주 전국적으로 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지만 인천에선 급식과 돌봄 등 학교 운영에서만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화물연대 등에 따르면 24일 0시부로 시작한 무기한 총파업에는 인천지역 본부 노조원 1800여명 가운데 600~700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인천본부는 앞서 중구, 연수구, 서구, 미추홀구, 남동구, 부평구, 남동구 등 총 7개 지역에 집회시위 신고를 마치고 파업 동참을 예고했다.

24일 오전 10시에는 화물연대 인천본부 주최로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 앞에서 총파업 출정식이 열린다. 지난 6월 총파업 때도 같은 장소에서 출정식을 연 바 있다.
화물연대 요구 조건은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운송료 인상 등 생존권 보장안 마련이다. 이들은 지난 6월 총파업 당시 정부와 합의한 '안전운임제' 지속 추진과 품목 확대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처럼 화물연대 총파업이 기정사실화하자 인천공항만은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우선 인천세관은 비상 통관지원반을 설치하고, 파업 직후부터 종료 때까지 비상통관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수출입 화물 운송 차질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행정 제재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인천항만공사와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신항 배후단지 등 5곳에 면적 43만2100㎡, 컨테이너 5만6767TEU 보관이 가능한 임시장치장을 확보했다.
전국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 역시 학교 급식실 폐암 등 중대재해에 대한 종합대책 마련과 초·중·고등학교 지방교육재정 감축 반대, 임금체계 개편 등을 요구하며 25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인천에선 44개 직종의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 1만1629명이 활동 중인데 급식실 조리실무사만 약 2800명이다. 총파업으로 이어질 경우 일부 학교의 급식과 돌봄에서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한편 서울 지하철과 철도노조도 다음 달 총파업에 들어가지만 인천교통공사는 여기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인천교통공사 관계자는 “인천교통공사는 노사 간 관계도 안정돼 있고 특별한 이슈가 크게 없다”고 전했다.
▶ 관련기사 6면<오늘부터 줄파업…화물연대 “안전운임제 제도화를”>
/김원진·전민영 기자 kwj7991@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