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발암물질 우려 정책 반발
내일 한전 제기 행정소송 선고
유일한 대안마저 난관 불가피


인천 수출 1·2등 품목인 반도체와 바이오가 꿈들대는 곳 송도국제도시, 그리고 신도시 건설과 남동공단 등으로 인구와 산업이 밀집된 인천 남부지역. 이들 지역의 숨통을 트이게 할 유일한 전력 공급 대안은 신송도변전소다.
그러나 신송도변전소 건설은 한국전력과 경기 시흥 배곧신도시 지역 주민간 갈등의 골로 공사까지는 여러 난관이 불가피하다.
내 집 30m 지하에 345㎸ 초고압선이 매설되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8면<[송도 블랙아웃 시한부] ② '신송도변전소 갈등' 배곧 가보니>
한전은 송도국제도시 전력수요 증가와 인천 남부 지역의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해 신시흥변전소와 신송도변전소 사이 7.2㎞를 연결하는 초고압선 전력구 조성 공사에 착수했다. 문제는 신시흥변전소∼배곧하늘공원 5㎞ 중 3구간인 1.43㎞가 배곧신도시를 가로지르는 설치계획이다.
배곧신도시 주민들로 구성된 '한전 초고압선 비상대책위원회'는 345㎸ 초고압선이 온종일 엄청난 양의 발암물질(전자파)을 노출 시킬 우려에 한전 정책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에 지난 3월 한전이 제기한 '도로 및 공원 점용불허가 처분 등 취소' 행정소송에 대한 선고가 오는 15일 수원지법에서 열린다.
한전의 특고압선 설치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마찰을 빚고 있다. 최근에는 수도권 곳곳에 세워지는 데이터센터가 말썽이다. '전기먹는 하마'인 데이터센터 주변에 전자가가 발생하고, 데이터센터까지 막대한 특고압선이 필요하다.
인천과 부천 주민들은 최근까지도 인천 삼산동∼부천 상동까지 2.5㎞ 구간은 8m 깊이에 매설될 기존 전력구를 활용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한전은 상동신도시개발 당시 8m 깊이로 전력구를 설치, 154㎸ 지중선로를 가동 중이다. 여기에 345㎸ 고압선을 추가로 매설하려는 한전과 마찰이 상당했다. 다행히 지역 주민과 한전은 3년간의 갈등 끝에 지하 30m 지중화 매설로 합의했다.
송도 주민들은 한국외대 송도 캠퍼스에 데이터센터가 건설될 것에 반발 중이고, 안양 또한 같은 상황이다. 최근에서야 발등에 불이 떨어진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김진용 청장도 시흥시를 찾았지만, 별다른 해법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의 신송도변전소 설치 문제는 시흥의 배곧대교와 얽혔다. 시흥시 임명택 시장과 김 청장이 만나 '배곧대교 조속 건설'에는 합의점을 찾았지만, 그에 따라 인천은 환경단체와의 분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김 청장은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이 찬성하고 있는 가운데 아암대로 교통정체 완화, 두 지역 간 동반 성장과 국가경제 발전을 위해 배곧대교 건설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을, 임 시장은 “시민사회가 수용 가능한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협력이 필요한 만큼 두 지역의 현안 해결을 위해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답했다.
/이주영·정혜리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