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중고차 수출 야적장' 오명
iH “과거 명성·상징성 찾아야”

인천시가 민선 8기 유정복 시장의 1호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와 '뉴 홍콩시티' 프로젝트를 위해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FEZ)을 확대·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해당 지역 일대가 들썩이고 있다. 대상지는 인천내항(1·8부두)과 북부권(수도권매립지·강화남단), 송도유원지 일원이다. 송도유원지는 미추홀구 학익동과 연수구 동춘·옥련동에 걸쳐 156만9256㎡에 이르며 옛 송도유원지(4블록·약25만4403㎡)를 포함하고 있다. 그간 '중고차 수출 야적장'이라는 오명을 벗고 새 그림으로 수도권 최초 유원지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편집자주>

1>기로에 선 옛 송도유원지
2016년 2월 인천도시공사(iH)이사회는 인천도시관광㈜(대주주 싸이칸개발 지분 69.01%)가 요구한 유상증자(21억5000만원)를 하지 않기로 원안 가결한다. 2014년 송도관광단지 조성계획이 실효된 데다가 어차피 상법상 지분 3분의 1 이상을 확보하지 못하면 권한 행사를 못 하는 것은 매한가지라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iH가 보유한 인천도시관광 지분율은 기존 30.75%에서 17.73%로 줄었고, 총 30억원에 이르던 iH 출자금도 무상감자로 165분의 1 수준인 1770만원으로 축소됐다.
당시 iH내부에서 옛 송도유원지가 시민들의 추억이 깃든 곳이라는 점을 주목하고 인천도시관광의 지분을 유지해야 한다는 견해도 있었다. 증자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대주주에게 85억원 이상을 증여하는 결과를 낳아 정치적 부담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았다. ▶ 관련기사 3면 : <[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1. 기로에 선 옛 송도유원지>
옛 송도유원지는 2013년부터 이미 유원지 기능을 잃은 채 임대(3.3㎡당 8200원)와 전대(1만2000원∼1만3000원) 과정을 거쳐 '중고차 수출 야적장'으로 쓰이고 있다.
인천도시관광은 경제자유구역 지정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12월 23일 인천시의회 도시개발사업 관련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에 참고인으로 출석한 김정률 ㈜싸이칸홀딩스 회장은 구 송도유원지를 '한류' 드라마 세트장 등을 갖춘 복합관광단지로 개발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유원지 인근 1·2·3블록은 2020년 장기 미집행 일몰제로 유원지 시설에서 풀린 후 2040인천도시기본계획상 '시가화 예정용지'로 반영된 상태다.
iH는 옛 송도유원지가 과거 명성과 상징에 걸맞은 모습을 되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현재 지분으로는 의사결정 과정에 별다른 영향력을 미치기 힘든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iH관계자는 “(향후 송도유원지 개발에 대비해) 장기적으로는 iH가 인천도시관광㈜ 지분을 좀 더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유원지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 개발 가능성이 확대된다고 볼 수 있는 만큼 우리로서도 딱히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옛 송도유원지가 인천시 출자의 인천도시관광 소유였다가 1999년 느닷없이 민간사업자에게 넘어간 '아암도 매각 사태'를 재현할 우려를 낳고 있다.
/이슈팀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