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위원회는 전체적 예산의 윤곽을 짜는 곳인 만큼, 올 한해 재정건전성 강화에 역점을 두고 시정을 운영해 가려고 합니다.”
제9대 인천시의회가 새해를 맞아 의정활동에 시동을 걸고 있다. 9대 시의회 전반기 행안위를 이끄는 신동섭(61) 위원장 역시 최근 인천일보와의 인터뷰를 통해 재정건전성 강화와 시민 행복 실현을 역점 추진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자타공인 재정전문가로서 혈세 낭비를 막고 시 재정건전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신 위원장은 “민선8기가 제물포르네상스, 뉴홍콩시티, 각종 SPC 사업을 많이 전개하고 있고, 또 시청사도 신축하기 때문에 행안위에서 철저히 감독할 필요가 있다”며 “시 재정운영 조례를 보조금·채무관리에 관한 조례 등으로 나눠 분석하고, 또 본청과 공사·공단 채무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정한 '지방자치시대' 실현도 강조했다. 그는 “지방자치시대 정착을 위해선 조직·재정 분권이 선행돼야 하는데 지금은 허울만 좋은 지방자치시대나 다름없다”며 “시가 국비 확보 등을 홍보하지만, 이보다도 지방자치시대가 빨리 정착될 수 있게끔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작년 자금 시장을 얼린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를 들어 1701억원에 달하는 우발채무는 물론 부채율이 200%를 넘긴 인천도시공사의 재정혁신도 짚어야 한다고 봤다. 공사발 부채 문제 발생 시 시도 자유롭지 못할 것이란 이유에서다. 신 위원장은 “지난해 구월2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등에 대한 동의를 보류한 직후 강원도 디폴트 사태가 일어났다. (보류 결정이) 신의 한 수였다”며 “공사에서 쇄신안을 가져왔는데 들여다보고 확실할 때까지 보류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증액 예산에 대한 솔직한 생각도 내놨다. 그는 “실과에서 사업예산을 요구하지 않은 것을 의원이 증액해 편성하게 되면 필요하게 쓰여야 할 예산을 집행부에서 쓰지 못하고, 연말에 불용처리 되는 등 악순환의 고리가 된다”며 “의원들께 이를 지양하자는 당부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끝으로 강조한 건 시민 안전과 행복이다. 신 위원장은 “300만 시민이 행복한 인천을 만들겠다는 게 제 슬로건”이라며 “현안이 있는 곳은 발로 뛰며 주민의 아픔과 애환을 함께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