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값 비싸 투자유치 등 난항 예상
해당 지역 복잡한 이해관계 얽혀
“민관기구 구성 머리 맞대야” 제언


2019년 11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청라 경제자유구역과 맞닿은 서부산업단지(93만8624㎡)와 그 주변 생산녹지 등 115만9000㎡를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을 추진했다.
2020년 11월 준공을 목표로 시비 6억3380만원을 들여 '서부산단 일원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 기본구상 및 타당성 사전검토' 용역에 들어갔다. 주물 등 악취유발사업을 대신할 첨단산업 유치와 구조 고도화가 목적이었다.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 추진은 보상에 대한 기대심리로 땅값 상승세를 부추겼다. 당시 이면도로를 낀 주물단지 안 사업장의 땅값이 3.3㎡당 420만원 선이었다. 이전비용과 영업보상을 제외해도 땅값만 약 1조5000억 원대로 추산됐다.
인천경제청은 결국 서부산단의 경제자유구역 확대지정을 포기했다. 대신 인천시는 지난해 말 일반공업지역이었던 서부산단을 준공업지역으로 바꿨다. 용적률을 최대 350% 이하에서 400%로 늘리고, 제2종 근린생활시설도 가능하도록 산업단지계획(변경)을 승인한 것이다.
송도유원지 일대에 대한 경제자유구역 확대가 사실상 가능할지 의문이다.
인천경제청은 올 하반기 송도국제도시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타당성 및 개발 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해 내년 상반기 이후 정부에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옛 송도유원지를 포함해 장기미집행으로 유원지에서 해제된 지역 등 157만㎡ 규모가 대상지로 떠오르고 있다.
인천시종합건설본부는 이 지역에서 아암대로~KT송도지사 간 도로(길이 560m·폭 30m) 개설공사(공정률 0.1%)를 벌이고 있다. 아암대로와 접한 개설도로의 보상가는 3.3㎡당 699만원이다. 도로·녹지·공원 등 공공시설 용지를 위한 감보율을 50%로 잡았을 때 3.3㎡당 1400만원 선이다. 땅값만 해도 어림잡아 6조6458억원에 이른다. 비싼 땅에 투자나 첨단산업 유치가 제대로 될지 우려가 되는 대목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시 종합계획인 '뉴 홍콩시티' 프로젝트 수립 용역이 어느 정도 진행돼야 경제자유구역 확대 위치 및 면적도 구체화할 것”이라며 “송도유원지와 함께 아암물류1단지, 송도 신항 등도 후보지로 놓고 같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시계획전문가는 해당 지역이 복잡한 이해관계로 얽혀있는 만큼 민·관 거버넌스 구성을 통해 최적의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한다. 서종국 인천대 도시과학대학장은 “현재 송도국제도시는 첨단·바이오 산업 확대로 더 이상 투자 유치 용지 확보가 어려워진 건 맞다. 미래 산업 트렌드와 수요 등을 면밀히 분석해 송도국제도시 경자구역 기능을 보완·확대할 수 있는 계획이 검토돼야 한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충분한 숙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관련기사 3면<[경제자유구역 확대, 현장을 가다] 3. 통합계획, 융합개발로 가자>
/이슈팀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