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은 1981년 7월1일 경기도로부터 독립했다. 직할시로 승격해 독자적으로 행정·재정 등을 운영했다. 인천시민들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강화한 계기였다. 도시 발전을 거듭한 인천은 공항·항만·산단·경제자유구역 등을 아우르며 국내 산업화와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해 왔다. 5·3 인천 민주항쟁과 노동운동 등을 벌이며 민주화를 이끈 도시로도 한몫을 톡톡히 했다.
이런 거침 없는 발전 속에서 인천은 이제 전국 '제2 도시'를 앞두고 채비를 서두른다. 2035년쯤이면 인구가 부산시를 앞지른다는 예상이 발빠른 행보를 보이게 한다. 최근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를 보면, 2035년 인천의 인구는 296만7000명으로 부산(295만9000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부산은 332만여명, 인천은 296만5000여명이었다. 부산 인구는 1995년 389만9000여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 하락세다. 인천시는 이에 맞는 행정 조직을 추진하고 있다. 다양한 행정 서비스로 시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조직 확대를 꾀한다.
지속적인 성장으로 '제2 도시'를 노리는 인천이지만, 넘어야 할 산은 높다. 우선 교육·법조·행정 등에서 기반 인프라를 확충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남북 접경지역으로 평화번영의 중심도시라고 외쳐도, 북한전문대학원조차 없는 상태다. 초·중등 교육여건도 부산보다 미흡하다. 2020년 기준 인천시교육청 학생 수는 34만8285명으로 부산시교육청 34만6578명을 이미 앞질렀는 데도, 학교 수는 부산보다 적다. 인천은 943개, 부산은 1037개다. 교사 수도 2만7116명으로 부산 2만8570명보다 모자란다. 수도권 규제에 가로막혀 대학도 9개에 불과하다. 부산(16개)보다 훨씬 적다.
인천엔 고등법원도 없다. 인천지법 관할 인구가 423만여명에 달하는 데도, 민사·가사부 서울고법 원외재판부만 존재한다. 수도권이란 이유로 인천이 받는 역차별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강화·옹진군의 경우 수도권정비계획법 적용에 접경지역에 속해 군사시설보호법 등의 중첩된 규제를 받는다. 각종 개발에 제한이 많아 자체적인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이밖에 의료와 교통 등 개선해야 할 과제가 수두룩하다.
인구수로만 전국 '제2 도시'면 뭐하나. 들뜰 일이 전혀 아니다. 시민들은 “형식보다는 알찬 내용이 필요하다”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시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인천의 정체성'을 세워야 할 듯싶다. 그렇게 해서 긍지의 역사와 희망의 미래를 펼쳐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시민과 함께 나아갈 길을 내다보는 뜻깊은 기회로 삼았으면 한다.

/이문일 논설위원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