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신축·현 부지엔 여중 구상
지역사회, 시교육청 계획에 반발
시교육청 “의견 수렴·철회 불가”

'인천 최초 공립학교'로 한 세기 넘는 역사를 지닌 창영초등학교를 인근 재개발구역으로 옮기는 계획이 교육부 심의를 앞두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은 “이전이 불가피하다”는 태도를 고수하는 가운데 한쪽에서는 “인천 교육 산실을 껍데기만 남기는 개발 우선주의 행정”이라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시교육청은 오는 30일 열리는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 창영초 이전 안건이 상정됐다고 25일 밝혔다.
이전 계획대로라면 동구에 위치한 창영초는 동쪽으로 300여m 떨어진 금송구역 부지에 2026년 옮겨진다. 재개발구역에 창영초 건물을 새로 짓고, 현재 학교 자리에는 여자중학교를 신설한다는 구상이다.

시교육청은 재개발로 인한 학생 수 증가를 이전 사유로 내세운다. 창영초 학생 수는 지난해 5월 기준 181명인데, 금송구역과 또 다른 재개발 사업지인 전도관구역 입주가 본격화하는 2026년에는 982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시교육청은 내다보고 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현재 건물로는 수용 가능 인원을 초과한다. 창영초는 인천시 지정문화재라서 증개축도 어렵다”고 말했다.
창영초 발자취는 한 세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7년 설립으로 기록됐지만 역사학계는 1896년 개교한 '인천부공립소학교'를 창영초 시발점으로 본다. 인천공립보통학교 시기에는 인천 3·1운동 발상지로 역사에 남았다.
창영초 이전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사회에선 반발 여론이 떠오르고 있다. '인천 창영학교 이전 사태를 우려하는 시민모임'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근대 교육사의 서막을 연 인천공립보통학교는 인천 교육 산실이자 정신의 뿌리”라며 “시교육청이 교육부 심사를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인천 최초 공립학교를 재개발구역으로 이전하는 계획은 애초부터 역사의식이 결여된 개발 우선주의”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주민설명회와 소통협의회 등을 통해 의견을 수렴했다”며 “찬성하는 주민도 있기 때문에 이전 안건을 철회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