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이 다음달부터 교육복지 사각지대 학생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시범 운영한 교육복지안전망 사업을 모든 교육지원청으로 확대 운영한다.
교육복지안전망 사업은 교육지원청이 교육복지사가 없는 학교를 위주로 경제적 어려움, 심리·정서적 어려움, 사회적(관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을 찾아 해당 학생과 그 가정에 필요한 복지서비스를 통합적·맞춤형으로 지원하는 게 골자다.
3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2021년 교육부 특별교부금을 받아 5개 교육지원청 시범 운영으로 시작해서 2022년에는 11개 교육지원청으로 확대 운영한 교육복지안전망 사업을 올해 25개 교육지원청으로 전면 확대한다.
이를 위해 특별교부금 6억2500만원을 받고 교육부로부터 국가정책수요 지방공무원 정원 19명도 확보했다.
도교육청은 하반기에 사회복지직렬 임기제 공무원을 최초로 채용하고, 교육복지 전문인력이 없는 교육지원청에 우선 배치할 계획이다.
교육복지 전문인력이 없는 교육지원청은 상반기에 지자체·교육복지 자원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교육복지안전망 운영 기반을 마련하고, 전문인력 배치 후 본격적으로 교육복지안전망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도움이 필요한 학생 발굴과 통합사례관리 연계·지원 ▲내·외부 네트워크 구축 및 교육복지 자원 발굴 ▲학교의 교육복지 역량 강화 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도교육청 김기훈 교육복지기획과장은 “학교에는 복합적 요인으로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많다”며 “교육지원청에서 이들을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서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교육적 성장을 위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