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 창영초등학교 이전에 반발하는 지역사회 여론을 마주한 인천시교육청이 “열린 자세로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며 한발 물러섰다. 다만 교육부 심사가 이미 진행 중인 상황이라 공론화 과정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시교육청은 30일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에서 창영초 이전 안건에 대한 심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창영초 이전 여부는 31일 중앙투자심사위원회 전체회의를 거쳐 시교육청에 통보된다. 교육부 심사는 공립학교 신설·이전 등을 결정하는 최종 관문에 해당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심사는 전국적으로 안건이 많아 이틀에 걸쳐 열린다”며 “재개발 사업 등으로 유발되는 교육 수요를 고려한 창영초 이전 재배치 필요성을 (심사위 측에) 설명했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인근 금송구역 입주 시기인 2026년 이후 과밀학급 문제가 예상된다며 창영초를 재개발 사업지로 옮기는 안의 투자 심사를 교육부에 의뢰했다. 한 세기 넘는 역사를 지닌 창영초 이전 소식이 알려지자 지역사회 반발도 불거졌다. '인천 창영학교 이전 사태를 우려하는 시민모임'은 전날 호소문에서 “인천 교육의 뿌리를 지키고 원도심 교육 환경을 개선할 대안을 찾는 토론회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도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창영초 이전은 재검토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시교육청은 이번 심사 결과와 관계없이 창영초 이전과 관련해 인천시·인천시의회와도 추가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에서 제기하는 반대 의견을 더 신중하게 듣고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 지역사회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소통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