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 40.16·서구 15.48% 늘어

오는 2026년 수도권 매립지 직매립 금지 방침에 따라 인천시가 생활폐기물 감량 강화에 나선 가운데 구·군별 감량 편차가 커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
31일 시에 따르면 생활폐기물 감량 목표관리제에 따라 지난해 인천 강화군은 반입목표량 6369t 대비 21.29%를 감량했다. 인천 중구는 1만6279t 대비 20.89%를 감축했다.
동구와 부평구도 감량 지자체에 이름을 올렸는데, 각각 목표대비 7.24%와 5.29%를 감량했다. 이외 6개 구·군은 모두 생활폐기물을 감량하지 못하고, 되레 2022년 목표치보다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제일 큰 증가량을 보인 지자체는 옹진군으로, 반입목표량 1085t 대비 40.16%나 늘어난 규모다. 뒤를 이어 서구가 목표량 대비 실반입량이 15.48% 증가했고, 연수구 역시 12.31% 늘었다.
한편 남동구와 미추홀구는 생활폐기물 반입 목표량은 지키지 못했지만, 각각 실반입량이 0.10%와 2.34% 소폭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구·군별 쓰레기 발생량이 유의미한 감량 결과를 내지 않는 만큼 시 차원의 제도 점검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이재현 인천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초빙 교수는 지난 30일 열린 인천공공성플랫폼 토론회에서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시뿐 아니라 기초지자체까지 쓰레기를 50% 이상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여야 한다”라며 “감량과 재활용 중심의 폐기물 선진화 실행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올해도 옹진군과 서구는 생활폐기물 감량 목표 달성에 따른 사업비 지원을 받지 못하는 등 감량 실적이 지자체별로 다르다”라며 “시는 2026년 수도권 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따라 생활폐기물 감량 목표관리제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박해윤 기자 yun@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