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정치 경험
민원 해결하며 정가 입문 결심
“언제든 보육 서비스 제공해야”
외국인 자녀 예산 편성 역할도


“시민의 곁에서 함께하고 소통하면서 생활 속 민원을 해결하는 생활정치에 앞장 서겠다.”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여가교위) 조용호(민주당·오산2) 부위원장은 제11대 도의회 초선의원으로 지방의정에 직접 뛰어들었다. 그의 첫 상임위인 여가교위는 청년, 여성, 돌봄·보육, 다문화, 노인 등 다양한 정책 분야를 포괄한다.
조 부위원장은 “도민들이 민감하게 피부로 느낄 만한 사안들이 많아서 생활정치와 가장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도민의 어려움을 청취하고 현장에서 답을 찾겠다”며 민원 해결사를 자처하고 나섰다.
정치에 직접 해봐야겠다는 결심이 선 것은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활동하면서다. 조 부위원장은 오산시시설관리공단 본부장과 이사장을 역임한 뒤 국회의원 지역 보좌관으로 밑바닥부터 정치를 경험했다. 여기저기 문을 두드리다가 결국 해결되지 못하고 국회의원 사무실을 마지막으로 찾아온 민원들이 수두룩했다.
그는 “어느 날은 국가보훈대상자가 아니었던 민원인을 국가보훈처에 연결해줘서 자격 취득이 되도록 도왔다. 고맙다며 내 손을 꽉 붙잡는데 그렇게 뿌듯할 수가 없더라”며 “의회에 입성해서 정치인으로서 더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줘야겠다는 결심이 섰다”고 돌아봤다.
조 부위원장의 최대 관심사는 돌봄·보육 문제다. 지난 2021년 기준 경기도내 어린이집 860개 폐원했다. 2022년 9월까지 폐원 어린이집 집계 현황을 보면 760개나 된다. 어린이집 운영상 어려움을 해소하고 보육료 지원을 현실화함으로써 부모에게 안정적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 정책 신념이다.
그는 “온종일 돌봄이든, 24시간 돌봄이든 부모가 언제든지 국가로부터 보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오산시는 함께자람센터 상시돌봄, 함께자람센터 틈새돌봄, 함께자람 학교돌봄터 등 돌봄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수요에 따른 정책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육환경 개선 노력은 내·외국인을 가리지 않는다. 조 부위원장은 올해 경기도가 0∼5세 외국인 자녀의 보육료 지급을 위해 관련 예산(도비 25억원·시군비 85억원)을 편성하는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보육료 지원의 필요성을 강력히 피력하는 등 소관 상임위 위원으로서 톡톡히 역할했다.
이와 함께 0∼2세 외국인 자녀 보육료 지급의 근거 마련을 위해 경제노동위원회 소관의 '경기도 외국인주민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해 제도적 발판 마련에 힘쓰고 있다. 개정안이 통과되면 경기도는 전국 최초로 0∼5세 외국인 자녀에게 보육료 지급을 할 수 있게 된다.
조 부위원장은 “단 한 명을 주민을 만나더라도 직접 현장으로 가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겠다”며 “'경청'이라는 강점을 살려 주민들과 마지막까지 호흡한 정치인으로 기억에 남고 싶다”고 포부를 전했다.
/글·사진 박다예 기자 pdyes@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