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역~상상플랫폼~내항부두 공간 새단장
제물포르네상스 사업과 동일한 궤

인천의 대표적 원도심인 인천역 일원이 공간혁신구역 확대 지정을 바탕으로 내항 일대와 인천역 복합역사, 상상플랫폼 간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수익성 미확보로 표류하던 복합역사 개발도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동구 인천역 일원에 대해 현재 입지규제최소구역(입소구역) 2만4000여㎡의 약 3배 규모로 '공간혁신구역' 지정을 추진한다.
해당 계획은 원도심 균형발전을 목표로 하는 제물포르네상스 사업과 궤를 같이한다.
인천역 일대는 지난 2016년 입소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인천역 복합역사 건설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협소한 사업부지와 수익성의 한계 등으로 민자유치가 좌절, 수년간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시는 '공간혁신구역' 도입이 복합역사를 포함해 인천역 일원 개발을 풀 핵심 열쇠라고 봤다. 구역 지정에 따라 주변 개발이 속도를 냄과 동시에 수익성 개선으로 민간사업자의 사업 참여 수요도 늘 것이라는 기대다.
이달 국토교통부는 입소구역 등의 한계를 보완하는 도시혁신구역, 복합용도구역,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 등 공간혁신구역 3종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도시 계획에서 민간 제안을 폭넓게 허용하고 규제를 대폭 완화해 민간이 개발 역량을 최대로 발휘하게 하는 것이 골자다.
국토부는 올해 공간혁신구역을 활용한 선도사업을 추진한다는 구상인데, 시는 이러한 계획에 맞춰 선도사업에 도전한다.
시는 올해 인천역 일대의 입소구역 2만4693㎡에 더해 지금의 약 3배 이상 규모에 대한 혁신구역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도로·건물 등으로 단절된 인천역(향후 복합역사)∼상상플랫폼∼내항 1·8부두 일대를 정비, 도보 등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접근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만석우회고가도로 철도에 이어 지하 도로화 추진, 인근 일부 도로 폐도, 주택지 등의 철거를 계획 중이다. 이를 위해 인천도시공사 등과 논의 중으로, 향후 계획 구체화시 주민 협의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구체적 내용 등은 제물포르네상스 마스터플랜 용역에 함께 담기게 된다.
시는 또 현재 개발주체가 코레일과의 협의를 통해 복합역사 사업을 직접 주도하겠다는 의지도 드러냈다.
시 관계자는 “인천역 일원과 복합역사 개발은 입소구역만으로는 추진이 어렵다”며 “향후 동인천역·인천역 일원에 대해 도시혁신구역,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 지정 등을 함께 신청해 지정을 통한 역세권 활성화, 개발사업 추진 등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민도 안 살고 관광지의 기본인 스타벅스도 없으면 관광지도 아님.
인천역 주변 없는시설 : 학원, 병원, 피자체인점, 치킨체인점, 햄버거체인점, 휴대폰판매매장, 스타벅스, 옷가게, 베이커리, 한솥 등
인천 중구에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극히 적다. 입장객이 극히드문 건물을 체인점에 임대해서 그 건물을 배경으로 사진도 찍게하고
관심을 가지게 하는 방법을 찾아야한다. 짜잘한 박물관 10개 보다 큰 박물관에 다 때려넣는게 차라리 맞다.
박물관은 진득히 보면서 연관성을 찾아야하는데 5분보고 또 옆 박물관 이동하다보면 남는게 없다.
월미도 이민사 박물관에 통합하거나 이미 망한 누드플랫폼을 박물관으로 사용하는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