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착수…1년간 구체적 협의 계획
인천공항공사·시 등 운영 참여 가능성
김포공항 항로 예정 불구 다각화 기대

지난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백령공항 사업에 대한 운영권과 사업비 분담 등에 대한 협의가 구체화할 전망이다.
6일 인천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이날 사업지 사전 현장답사 등을 거친 후 이달 말 백령공항 기본계획수립 및 전략환경영향평가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인천일보 1월11일자 3면 날개 단 백령공항 사업…인천시, 공항 운영권 '확보 의지'>
오는 3∼4월 용역에 착수해 1년여간 전략환경영향평가, 공항 운영권 등에 대한 구체적 협의 등을 통해 기본계획을 마련하게 된다.
사업 주체인 국토부는 공항 운영사에 대해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공항공사뿐 아니라 인천시, 인천공항공사 등 단·복수 주체가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공항은 출국 게이트 안 '에어사이드'와 여객터미널, 주차장 등 게이트 바깥 '랜드사이드'로 나뉜다. 현재 전국 공항은 국토부와 한국공항공사가 각각 에어사이드, 랜드사이드 관리·운영을 맡고 있다.
시는 지분참여를 통한 백령공항 랜드사이드 운영권 확보 의지를 보여 왔다. 지역 연계 개발 사업 등에도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다는 구상에서다.
인천국제공항을 운영하는 인천공항공사가 백령 공항 운영에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문제는 경제성이다. 예타결과 B/C값이 0.91인 데다 지방공항 대부분이 적자 운영되고 있어 인천공항공사가 사업 참여에 의지를 가질지 불투명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인천공항공사의 백령공항 운영을 위해선 관련법 개정도 필요하다.
기본계획수립 시 운항 노선 논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백령공항 노선은 백령∼김포공항으로 예정됐지만 협의 등을 통해 인천공항으로의 다각화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주민 이용이 많은 섬 공항 특성상 경로 확대에 따른 공항 이용률 제고도 점쳐진다.
현 상황에서 지자체와 전문가 등 지역사회가 공항 건설·운영을 통한 섬 지역 활성화, 시민 편익 확대 등에 뜻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시 관계자는 “이달 국토부가 기본계획수립 용역을 발주할 전망”이라며 “계획수립 과정에서 공항 운영권과 사업비 분담, 운영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시는 사업비 약 3억원의 '백령공항 주변지역 조류 현황조사 및 조류충돌 위험저감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 국토부와 환경부 간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협의에 활용토록 할 구상이었으나 지난달 이를 철회했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