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무료급식소들이 급등한 식재료비와 에너지 가격으로 허리가 휜다는 소식이다. 급식소별 사정에 따라 어려움에 정도 차이는 있겠으나, 대부분이 지자체의 지원과 독지가의 후원에 의존하므로, 운영 자체가 힘들어졌다고 봐야 한다. 전기와 가스 요금이 외환위기 이래 최대치인 연 30% 이상 급격하게 올랐고, 모든 음식 재료 가격이 30~40% 뛰었으니 버티는 게 용하다 싶을 정도다. 게다가 고물가 시기가 언제 막을 내릴지도 모르는 상황이어서 무료급식소 측의 고민이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도 지자체의 지원을 물가상승분 이상으로 늘리는 조치가 시급하다. 70세 이상 어르신 200명에게 점심을 제공하는 안양의 한 급식소의 경우 시로부터 월 2000만 원 정도를 지원받는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하면 지원금 규모가 당장 300만~400만원 증액되어야 한다. 하지만 지자체 예산은 연 단위로 편성된다. 이럴 경우 시와 시의회가 긴급 지원 방안을 수립하고 집행하는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시의 지원과 독지가 후원을 급하게 확보하지 못하면 급식이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 급식소들도 후원금을 늘리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역시 고물가고에 시달리는 기업과 일반 시민들의 후원이 많이 늘어나리라 기대하기 어렵다. 그렇게 되면 배식량과 반찬의 가짓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 물가고의 피해가 취약계층에게 고스란히 돌아가는 것이다.
실제로 안양역 인근의 노숙인쉼터는 주 6회 제공하던 밥과 국, 5찬 식사 가운데 주 1회는 빵과 음료수로 대체했다고 한다. 복지의 폭을 긴급하게 늘려나가야 할 시기에 오히려 줄어드는 역설이 발생하기 시작한 셈이다.
경기도와 각 시군은 무료급식소들의 어려움을 최대한 빨리 파악해서 대책을 서둘러 주기 바란다. 아울러 중장기 대책으로, 서민층 누구나 매우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는 공공식당제도라든가 미국의 SNAP(일명 '푸드 스탬프')제도처럼 어떤 상황에서도 취약계층의 식사를 보장하는 방식 도입을 진지하게 고민하자. 한국 사정상 당장 도입이 어렵더라도 모색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