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자연 어우러진 보물…조기·민어·홍어에 얽힌 역사도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중심지 인천. 168개 유·무인도마다 특색 있는 역사와 자연,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전설 속에 파묻혀버린 이야기들을 발굴한다. 기록 탐구와 데이터로 역사성과 사실성을 살려낸다.
인천 앞바다에서 조기가 사라진 배경, 홍어 주산지는 대청도라는 사실, 사라진 민어와 낚시 포인트, 트래킹 코스 체험 등 숨어 있는 이야기를 섬 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담아내고 있다.
사람과 자연이 어우러진 보물, 맛있는 인천 섬으로 초대하는 책이다.
인천 섬 관광 활성화가 인천시의 화두로 부상한 요즈음, 그 동안 몰랐거나 무심코 지나쳐 왔던 '잃어버린 인천 섬 이야기'를 오롯이 담아냈다.
청일전쟁, 제물포해전, 러일전쟁, 인천상륙작전, 서해교전 등 인천 앞바다는 역사적으로 긴장과 전쟁, 평화의 간극에서 존재해 왔다.
인천 섬에 살고 있는 주민 30여 명을 인터뷰하고 이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통계 데이터를 동원해 씨줄과 날줄로 연결한다.
새우어장으로 유명했던 울도, 문갑도, 장봉도, 석모도 어장이 황폐화하자 1970~1980년대 강화와 인천 어민들이 호남지역에 출가어업해 선박을 만들어주고 어구어법을 전파한 사연은 저자가 발로 뛴 흔적이다.
저자 김용구는 인천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더좋은경제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인천권역 사회적기업·협동조합 지원기관 센터장, 인천시 도서발전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당신이 몰랐던 인천 섬 이야기'(명문미디어, 2016년)를 출간했고 2019년 6월부터 유튜브 '십시일반 시민교육문화센터' 채널을 통해 인천 섬 이야기를 연재하기도 했다.
/노유진 기자 yes-ujin@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