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예정 워크숍 아직도 미개최
시민사회 목소리 반영 등 우려도
인천시청 전경. /사진제공=인천시

지역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민관 소통과 협력을 통해 해법을 더할 시민정책네트워크가 좀처럼 움직이질 않고 있다. 가동이 된다 해도 얼마만큼 유의미한 역할을 할 것인지가 또 다른 과제이기도 하다.

인천시는 지난 하반기 진행될 계획이던 시민정책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 실무 워크숍 등이 아직 개최되지 못했다고 19일 설명했다.

네트워크는 시와 시의회, 30여개의 시민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소통 채널이다. 2015년 '시민사회소통네트워크'로 출발해 굵직한 지역 문제의 해결 방안을 민관정이 함께 모색하고 추진해왔다.

네트워크는 분기별로 대표자 회의 등을 진행했으나 민선8기 출범 이후인 지난 10월 상견례 성격의 실무회의를 한 차례 개최한 뒤 별다른 활동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1월 말 워크숍을 열어 네트워크 명칭 변경을 논의하고 신규 의제를 발굴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시의 조직개편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추진에 제동이 걸린 탓이다.

재외동포청 설립, 해사전문법원 유치 등 범시민 운동의 병행이 요구되는 현안이 부각되며 네트워크 가동 필요성도 강조된다.

플랫폼의 의미와 별개로 향후 네트워크가 시민사회 목소리를 반영해내기 어려울 것이란 쓴소리도 있다.

네트워크 구성원인 인천시의회 김대영(민·비례) 의원은 “시가 연두 방문, 찾아가는 열린 시장실 등 주민간담회 위주로 활동하는 모습이다. 일반적인 시민과의 소통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지역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등을 강구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단체 등과의 소통도 중요하다”며 “다만 네트워크의 필요성에는 공감해도 현 시 정부에서 이런 플랫폼들이 소통 채널로 활용된다는 체감이나 기대감은 적다”고 말했다.

시는 오는 3월 중 대표자 회의 등을 열고 네트워크 재정비를 통해 운영을 이어간다는 구상이다.

시 관계자는 “그간은 내부조직 안정화 등을 통해 네트워크 운영을 위한 내실을 다지는 시간이었다”며 “이제 다시 출범 취지를 새기며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혜리 기자 hy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