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애(국민의힘·고양2) 경기도의원은 지난 10일 식품알레르기를 앓고 있는 유아동의 급식 안전망 구축을 위한 개선 방안을 고양시와 식품알레르기 아동 자조모임 학부모 대표 등과 함께 논의했다.
이날 이들은 식품알레르기 아동 전담 급식 도시락 배포, 알레르기 전문 전담 영양사의 배치 등 다양한 방안을 찾았다.
현재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는 식재료가 표시된 표준식단표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식단에 따른 식자재는 개별 구매하고 있고, 직접 조리 원칙에 따라 이 상황들을 모두 점검하고 통제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식품알레르기 아동 자조 모임 학부모 대표는 “제도적 지원이 없으면, 아이는 사회 활동에서 배제된다”며 “해당 정보에 대해 고지 등을 받아야 할 권리들이 부당한 특혜로 인식되는 시선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없는 식자재를 시중에서 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며 “관계 기관의 폭넓은 정보 제공 등도 보완책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박상희 고양시 식품안전과장은 “일선 유치원 및 어린이집들에 대한 홍보 활동을 지속적으로 확대 나가겠다”며 “인센티브제의 도입 등 고양시 전체가 함께 변화할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변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운진 고양시 어린이·사회복지급식관리지원센터장은 “환경의 변화 등으로 알레르기 증상을 가진 유아동의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알레르기 전문 전담 영양사에 대한 예산 지원, 관련 종사자들의 처후 개선, 지속적인 교육, 유기적인 소통 등이 함께 정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인애 의원은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의 현장에서의 고충과 제도적인 한계도 충분히 알고 있다”며 “아이의 목숨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 우선 시행해야한다”고 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