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하·최상위 계층 유병률
소득 수준 따라 차이 극명

소득 수준에 따라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증상 유병률이 극명한 차이가 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최하위 계층은 32.7%, 최상위 계층은 13.4%로 2.4배나 높았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담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해당 조사는 2021년 3월22~23일 전국 17개 시·도 2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소득 최하위 계층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이며, 최상위 계층은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불안장애의 경우 각각 46.5%와 27.9%로 그 격차가 18.6%P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 생각'을 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이 24.1%로, 최상위 계층(6.74%) 대비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 살펴보면 1인 가구의 위험이 더욱 큰 것으로 파악됐다. 1인 가구 우울 증상 유병률은 21.6%, 2인 이상 가구는 17.2%로 그 격차는 4.4%P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일 때 14.5%이고, 1인 가구면 22.9%로 증가해 그 격차는 1.6배에 달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자살 생각'을 한 비율은 1인 가구가 13.5%로 집계돼 2인 이상 가구(7.7%)와의 격차는 1.8배였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시켰다고 경기연구원은 분석했다.
우리 사회가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 유병률은 8.9%인 반면, '다소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은 17.5%, '매우 심함'으로 응답한 집단은 39.1%로 증가(4.4배)했다.
불안장애의 경우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18.7%인데, '다소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32.7%, '매우 심함'으로 응답한 집단은 56.3%였다.
이에 연구원은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들의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낙인 인식 해소 정책 등을 제시했다.
이은환 연구위원은 “향후 신종 감염병 팬데믹 발생 시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에 대비해야 한다”며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 확산을 방지, 사회 약자, 취약계층들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해림 기자 sun@incheonilbo.com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