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은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위해 추진해 온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서비스를 3월 13일부터 관람객에게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은 인공지능 기반의 키오스크와 이와 연계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서비스입니다. 장애유형별 맞춤형 기능을 구현해 시·청각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이 누군가의 도움 없이도 최적의 박물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키오스크는 상설전시관 1층에 두 대, 2층과 3층에 각 한 대씩 설치돼 있습니다. 전시관 내 키오스크에서 시각장애인은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안내와 점자 키패드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고령자나 저시력 시각장애인은 화면 글씨 확대와 색상 고대비 화면 등으로 쉽게 정보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또한 휠체어 이용자나 저신장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키오스크 자동센서를 통한 높이 조절 기능도 제공합니다. 

특히,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서비스 구축이 돋보입니다. 청각장애인이 수어로 질문을 하면, 질문의 의도에 맞는 내용을 3D 수어 아바타가 수어로 대답합니다. 단순한 시설 안내뿐만 아니라 박물관 전시품에 대한 설명도 수어 아바타나 수어 영상 등으로 제공합니다. 수어 검색 서비스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향후 대량의 수어 학습데이터 구축 등 지속적인 보완과 개발이 필요하지만, 청각장애인이 실질적으로 사용·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 기반을 마련한 만큼 이용행태를 면밀히 분석해 기능을 더욱 고도화해 나갈 예정입니다. 

키오스크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안내는 관람객 개인의 휴대폰과 연동해서도 이용 가능합니다. 키오스크 화면의 QR코드를 촬영하면 박물관 전시안내 어플리케이션(앱)과 연동되며, 수어 챗봇 기능을 포함해 추천 동선 안내와 전시품 해설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전시를 관람하면서도 개인 휴대폰을 활용해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시·청각장애인 등 문화 취약계층은 물론 비장애인도 키오스크를 이용해 박물관의 다양한 정보에 접근, 자유롭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박남재, 임다예 PD 겸 영상취재기자 dladyek97@incheonilbo.com /인천일보TV medi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