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국 논설위원

법회 뒤, 북측 안내원을 따라 선죽교와 고려박물관 답사에 나섰다. 선죽교 바닥엔 검붉은 빛깔의 흔적이 남아 있었는데 안내원은 "정몽주가 흘린 핏자국"이라고 설명했다. 옛 성균관 건물을 보수해 꾸민 고려박물관엔 공민왕 묘의 내부, 고려청자, 금속활자와 같은 보물들이 넘쳐나 있었다. 놀라운 점은 유물 상당수가 유리관 같은 밀폐된 공간 안에서 보존되지 않고 그냥 선반 위에 얹혀진 채 관람객들을 맞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개성을 다녀온 이듬해 금강산취재를 추진했으나 안타깝게도 불발되고 말았다. 그 해 7월 북한군 총격으로 한 관광객이 사망하면서 금강산관광이 전면 중단된 것이다. '그리운 금강산'의 작곡가인 최영섭 선생께 결혼식 주례를 부탁드렸을 만큼 금강산은 가보고 싶은 곳이었다.
며칠 전 '정몽헌 전 회장 15주기 추모식' 참석차 북한을 다녀온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금강산관광이 중단된 지 10년이 넘었지만 이제는 절망이 아닌 희망을 이야기하고 싶다"며 올해 안에 금강산관광이 재개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금강산이 다시 열린다면 민선7기 인천시정부의 중요 방향인 '서해평화협력 중심도시 인천'시대의 전개도 빨라질 것이다. 한반도의 단전으로 북한과 같은 바다인 황해를 품고 있고, 세계1위의 공항과 동북아 허브 항만을 품은 인천은 지리적으로나 인프라 면에서나 남북교류의 최적합 '플랫폼'이다. 인천 출신의 한상억 선생과 최영섭 선생이 작사·작곡한 '그리운 금강산'이 남북의 앙상블로 황해에 울려 퍼질 날을 기다려 본다.
저작권자 © 인천일보-수도권 지역신문 열독률 1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